1. RVS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비행고도 FL290부터 FL410까지 운항하는 항공기 사이의 수직 분리기준을 기존의 20,00ft에서 1,000ft로 축소 운영하는 절차이다.
B. 항공기가 운항 가능한 고도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공역수용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C. RVSM 공역과 NonRVSM 공역 사이에 전이공역(Transition Area) 이 위치한다.
D. 운항지연 감소 효과는 가져왔으나 연료 절감 효과는 없다.
답 : D
ref ) ICM
Reduced Vertical Separation Minimums
With better flight and navigation instruments, vertical separation has been safely reduced to 1000ft in many paerts of the world. Reduced Vertical separation Munumums airspace is any airspace between FL290 and EL 410, inclusive, where airplane are separated by 1000ft vertically. This increases airspace capactiy and saves fuel by allowing aircraft to fly a more optimal profile. RVSM adds six additional usable altitudes between FL 290 and FL 410.
2. 만약 2 지점과 3 지점 사이에 비행시간이 13 분이 걸렸다면 3 지점에서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걸리는 추정시간은 얼마인가?

A. 13 분 B. 17 분 C. 26 분
답 : A
ref ) PPM
Time and distance to a staion

3. 1991 년 ICAO 에 의해 21 세기 국제 표준 항행 체계로 선정된 시스템 으로 현재 전 세계가 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 시스템 안에서 비행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스템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A. RNAV
B. RNP
C. CPDLC
D. CNS ATM
답 : D
ref ) 대한항공 공중항법
Chapter 5. CNS ATM(Communication Navigation Surveillance Air Traffic Management)
Part 1. CNS ATM의 역사 - 요약
마침내 그 결과물이 1991년 ICAO 10차 회의에서 FANS라는 이름으로 21세기 국제표준항행시스템으로 채택되었고, 현재 전 세계가 FANS(CNS ATM)을 구축하고 있다.
4. ADF 의 상대방위각(relative bearing)이 1.5 분이 경과하면서 95 도에서 100 도로 바뀌었다. 기지까지의 도착시간은 얼마가 되는가?
A. 18 분
B. 24 분
C. 30 분
답 : A
ref ) PPM
Time and distance to a station


공식 : 기지까지의 도착시간 = 변화하는데 걸린 시간(분) * 60 / 변화한 각도
X = 60 * 1.5 / 5 = 18
5. 아래에 주어진 값으로 비행컴퓨터를 이용하여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구하시오.
True course : 105 º
True heading : 085 º
True airspeed : 95kts
Ground speed : 87kts
A. 020 º , 32kts
B. 030 º , 38kts
C. 200 º , 32kts
답 : A
ref ) E6B
6. 아래와 같은 상황이 주어져 있다. 목적지로 향하기 위해 취해져야 할 전체 수정각은 얼마인가?
Distance off course : 9miles
Distance flown : 95miles
Distance to fly : 125miles
A. 4 º
B. 6 º
C. 10 º
답 : C
ref ) 파랭이 공중항법
3. 항로이탈 수정각 산출
㉠ 1차 수정 : 원래 항로와 평행하게 비행하기 위한 수정각
1차 수정 = 이탈거리(NM) / 비행거리(NM) * 60
㉡ 2차 수정 : 목적지 송신소에 진입하기 위한 수정각
2차 수정 = 이탈거리(NM) / 잔여거리(NM) * 60
총 수정각 = ㉠ + ㉡
( 9 / 95 + 9 / 125) * 60 = 5.6 + 4.32 = 약 10
7.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비행기가 이륙을 한다. 상승 중에 소요되는 시간, 나침로(Compass heading), 거리, 연료소비량은 각각 얼마인가?
Airport elevation : 1000ft
Cruise altitude : 9500ft
Rate of climb : 500ft/min
Average true airspeed : 135kts
True course : 215 º
Average wind velocity : 290 ˚ 에서 20kts
Variation : 3 º W
Deviation : -2 º
Average fuel consumption : 13gal/hr
A. 14 분, 234 º , 26NM, 3.9gallons
B. 17 분, 224 º , 26NM, 3.7gallons
C. 17 분, 242 º , 26NM, 3.5gallons
답 : B
ref ) E6B
8.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비행기가 순항 비행을 하고 있다. 순항 중에 소요되는 시간과 연료소비량은 각각 얼마인가?
Wind : 175 º 에서 20kts
Distance : 135NM
True course : 075 º
True airspeed : 80kts
Fuel consumption : 105lb/hr
A. 1 시간 28 분, 73.2lb
B. 1 시간 38 분, 158lb
C. 1 시간 40 분, 175lb
답 : C
ref ) E6B
9. 만약 자침로(Magnetic heading)가 040 ˚ 이고 상대방위각(Relative bearing)이 290 ˚ 이면 무선표지시설로의(TO) 자방위(Magnetic bearing) 은 얼마인가?
A. 150 º
B. 285 º
C. 330 º
답 : C
ref ) 조종사 표준교재 (공중항법)
p 221.

10. 비행기가 265 ˚ 의 자침로를 유지하고 있고 ADF 바늘이 065 ˚ 의 상대 방위각을 지시하고 있다. 이 지시는 비행기가 무선표지시설로부터 (FROM) 어떤 자방위를 크로스하고 있다는 지시인가?
A. 065 º
B. 150 º
C. 330 º
답 : B
ref ) 조종사 표준교재 (공중항법)
3.3.2.4.1 위치결정
ADF의 지시침은 항공기의 기수방향과 위치 관계없이 송신국을 향하여 가르킨다(To the station)

RB = 065
MH = 265
MB(TO) = RB + MH = 330
MB(TO) - 180 = MB(FROM)
11. VOR 기지로부터 60 마일 떨어진 곳에서 CDI 가 5 분의 1 의 Deflection 을 지시하고 있다. 이것은 대략 Course centerline 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음을 알려주는가?
A. 6 마일
B. 2 마일
C. 1 마일
답 : B
ref ) 60 : 1 Rule of Thumb
제일 간단한 중학교 공식 이용
2πr = 원의 둘레, 반지름 r에 60을 대입
X = 2 * 3.14 * 60 = 약 376 => 계산의 편의를 위해 360으로 대입.
∴ 60NM의 거리상이면 1도 당 1NM(6000ft) 이탈
1 dot = 2

12. 인가된 공중점검점에서 VOR 점검 시 요구되는 장비의 정확도는?
A. ±4 º
B. ± 6 º
C. ± 10 º
답 : B
ref ) 조종사 표준교재 (공중항법)
3.3.2.5.2 VOR 수신기 점검
요약) 지상점검 중 오차가 ±4도를 초과할 때 또는 공중점검 중 ±6도의 오차를 초과할 경우 그 오차의 원인을 수정하지 않고 계기비행을 시도해서는 안된다.
13. VOR 기지의 215 도 래디얼 상에서 Inbound 로 Track 하기 위해 OBS 는 어떻게 맞추어야 하는가?
A. 215 도로 맞추고 CDI 바늘쪽으로(toward) heading 수정을 한다.
B. 215 도로 맞추고 CDI 바늘반대쪽으로(away) heading 수정을 한다.
C. 035 도로 맞추고 CDI 바늘쪽으로(toward) heading 수정을 한다.
답 : C
ref ) 조종사 표준교재 (공중항법)
추적(Tracking)
1. 주파수를 맞추고 식별
2. OBS를 돌려 TO지시에 CDI가 중심에 오도록 함.
-> Cousre set 035
3. 상단 인덱스에 일치하는 방위로 선회하여 기수방향을 맞춤
[14 ~ 15] 아래 그림을 보고 답하시오.

14. 비행기가 180 도 회전을 했을 때 30 도의 각도로 150 래디얼을 intercept 하는 비행기의 위치를 보여주는 계기는?
A. 2
B. 3
C. 4
답 : C
첨견) 보기의 그림 중에 180 turn 후 150 radial과 30도 차이나는 그림은 3, 4번
그 중 150 radial to the station 쪽 그리음 4번
15. 어떠한 계기가 비행기가 선택된 VOR 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가?
A. 4
B. 1, 4
C. 2, 3
답 : A
첨견)
각 지시계의 꼬리(out bound)로 타서 나가는 그림은 4번 뿐임.
16. 항공기가 35 도 Left Turn 을 했을 때 90 도의 각도로 360 Raidal 을 Cross 하는 항공기의 위치를 보여주는 계기는?
A. 1
B. 2
C. 3
D.4
답 : B
첨견) 무풍 기준, 360 radial을 cross 하려면 course 090유지 그림에 2번 뿐임
17. 현재의 Heading 을 유지할 경우 선택된 VOR 의 180 Radial 을 Cross 하는 항공기는?
A. 1
B. 2, 3
C. 2, 4
D. 1, 3
답 : D
첨견) 1, 3은 같은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편함. 간단히 station으로부터 멀리 있는 그림이 3번, 점점 가까워져가면 1번 그림으로 된다
18. PBN system 내의 Airspace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Airspace 개념은 특정 공역에 대한 master plan 성격을 띄고 있다.
B. Airspace 개념은 safety, capacity, efficiency, environment, access 와 같은 전략적 목적들에 기반을 둔다.
C. Communication, Navigation, ATS surveillance, ATM 은 Airspace 개념 의 핵심 요소들이다.
D. ADS 는 항법의 핵심 요소이다.
답 : D
ref ) 조종사 표준교재 (공중항법)
4.4.10 공역 구성 및 PBN 사용현황
항공안전의 유지 또는 개선, 항공 교통 용량증대, 효율성 개선, 더욱 정확한 비행경로 및 환경 영향 완화와 같은 명시적이고 암시적인 전략적 목표를 충족하기 위해 공역을 개발하고 구성하였다.
공역 개념은 특정 CNS/ATM의 가정에 기반하여 실제 고역 관리 조직 및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역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공역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표는 일반적으로 공역 사용자, 항공교통관제 기관, 공항, 환경 및 정부 정책에 의해 정해진다. 공역 개념에 적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전략적 목표는 안전, 용량, 효율성, 접근, 및 환경이다.
19. 이 항법은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까지의 최단거리 비행을 가능하게 했으며, 지상 항행 시설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 항법을 무엇이라 하는 가?
A. Class I navigation
B. Class II navigation
C. Conventional navigation
D. Area navigation
답 : D
ref ) ICM
Area navigation
RNAV equipment computes the aircraft position, actual track, and groundspeed and then displays dstance and time estimates relative to the selected course or waypoint. RNAV enables you to effectively navigate in the IFR environment using waypoints - predetermined geographical positions for route/instrument approach definition - without the use of ground facilities.
20. RNAV 와 RNP 는 기본적으로 유사하나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둘을 구분하는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
A. GPS 사용 여부
B. On-board performance monitoring and alerting 유무
C. 지상 항행 시설 사용 여부
D. CPDLS 와 ADS 유무
답 : B
ref ) 대한항공 항법교재
Part 5. Performance-based Navigation(PBN)
RNAV는 Area navigation의 약자로 지역항법이라고 한다. 항행안전시설과 자립항법 시스템을 이용한 두 지점간의 최단거리 비행 또는 가장 효율적인 항로 비행을 가능하게 해주는 항법이다.
RNP는 Required navigation performance의 약어로, 정확도가 요구되는 비행 구간을 비행할 때 소요되는 총 비행시간의 95%시간 동안 항공기 항법시스템이 보여주는 항공기의 위치로 XNM 거리안에 실제 항공기가 위치하는 정확도를 뜻함.
만약 RNAV 3, RNP 3을 예로 들면 둘 다 3NM안에 들어오는 정확도가 필요하지만, RNP같은 경우는 항법 성능을 Mornitor하고 alerting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RNP requires on-board navigation performance monitoring and alerting and RNAV does not require.
21.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비행기가 순항 비행을 하고 있다. 순항 중에 소요되는 시간과 연료소비량은 각각 얼마인가?
Wind : 175 º 에서 20kts
Distance : 135NM
True course : 075 º
True airspeed : 80kts
Fuel consumption : 105lb/hr
A. 1 시간 28 분, 73.2lb
B. 1 시간 38 분, 158lb
C. 1 시간 40 분, 175lb
답 : C
ref) E6B
22. CNS ATM 구성 요소 중에서 AD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ADS는 Aeronautical Dependence Surveillance의 약어이다.
B. ADS를 통해 전 세계 Air Traffic에 대한 감시행위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C. 현재 ADS는 B 와 C 두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D. ADS 시스템을 통해 항공기는 자신의 위치, 고도, 속도 정보 등을 ATC에 전송하고, ATC는 받은 정보를 교통관제 업무에 사용하게 된다.
답 : A
ref ) 대한항공 계기비행 교재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ADS)
A surveillance technique, in which aircraft automatically provide, via a data link, data derived from on-board navigation and position fixing systems, including aircraft identification, four-dimensional postion and additional data as appropriate.
23. Instrument approach segment 중 항공기 Configuration change를 위해 설정된 Segment는?
A. IAS
B. IS
C. FAS
D. MAS
ref ) ICAO doc 8168 (PAN-OPS aircraft operation vol 2)
CHAPTER 4 Intermediate approach segment
4.1.1 The intermediate approach segment blends the initial approach segment into the final approach segment. It is the segment in which aircraft configuration, speed, and positioning adjustments are made for entry into the final approach seg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