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설/대한항공 계기 ATC

(~2019) 대한항공 ATC / 계기비행 -1

HLXXXX 2023. 11. 18. 11:09
728x90
반응형

1. 각각의 ATC 지시와 설명을 읽고, 틀린 설명은?

 

A. “Descend and maintain 9,000” : 지시를 받은 후 일반 강하율로 바로 9,000으로 강하한다.

B. “Verify 9,000” : 항공기가 8,000 에 있는 경우 이와 같은 지시를 받으면 바로 9,000으로 상승하여 고도를 변경 해야 한다. C. “Descend and maintain 9,000 at Pilot’s discretion” : 지시를 받은 후 조종사의 판단에 따라 강하 시점과 강하율을 결정한다.

D.“Cross OSAN VOR at 9,000” : 지시를 받은 후 조종사의 판단에 따라 강하 시점과 강하율을 결정하고, OSAN VOR을 9,000으로 통과한다.

 

답 : B

ref 1) ICM 

Descending from the enroute segment - 일반적인 상황으로 참고가능

ATC may ask you to descend and maintain a specific altitude. Generally, this clearance is for enroute traffic separation purposes, and you need to respond to it promptly. Descend at the optimum rate for your aircraft, until you are 1,000 feet above the assigned altitude.

When ATC issues you a clearance at pilot's descretion, you may begin the descent whenever you choose. You also are authorised to level off, temporarily, at any intermediate altitude during the descent, However, once you leave an altitude, you may not return to it. 

 

ref 2) 조종사 표준교재 (항공교통/통신/정보업무)

3.1.3.7 비행인가의 준수

마. 만일 항공교통관제를 위한 강하 비행인가 중 고도정보사항에 "Cross Fit at ir above/below altitude"라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으면 교차고도를 맞추기 위하여 강하하는 방법은 조종사의 판단에 맡긴다. 

 

 

 

2. Speed Adjustment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A. Approach clearance가 발부되어도 기존에 ATC에서 지시한 Speed adjustment는 준수해야 한다.

B. Approach clearance를 발부 후 Speed adjustment를 하고자 하는 경우 조종사의 동의가 필요하다.

C. FAS 내에서 Speed adjustment가 주어져서는 안된다.

D. 활주로 끝에서 5NM 이내에서 Speed adjustment가 주어져서는 안 된다.

 

답 : A

ref ) 조종사 표준교재 (항공교통/통신/정보업무)

3.1.3.9 속도조절 (Speed Adjustments) - 각 항목 요약

가.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ATC는 radar 관제 하에 있는 항공기의 조종사에게 속도 조절을 지시할 수 있음.

나. ATC는 지시대기속도에 의거, 10kt 증가마다 비행속도 조절을 표시하되, FL240 이상의 고도에서는 M.01 증가마다 마하로 표기, 단 마하의 표기는 마하 미터가 있는 터보제트 항공기에 한함.

다. 조종사는 지시받은 속도의 10kt 안팎에서 혹은 M. 02 내에서 속도유지

라. 조종사의 동의가 없는 한 ATC의 속도조절지시는 다음과 같은 최소속도에 의거

 (1) 10,000ft ~ FL280 사이의 고도에서는 250kt 이상의 속도 또는 동등한 마하 수.

 (2) 고도 10,000ft 이하의 비행하는 터보제트 항공기에는 210kt 이상의 속도 단, 착륙예정공항으로부터 20마일 이내에서는  170kt 이상의 속도

 (3) 착륙예정공항으로부터 20마일 이내에 있는 prop항공기는 150kt 이상의 속도

 (4) 출발항공기는 터빈 동력일 경우 230kt, prop 항공기의 경우 150kt 이상의 속도

마. ATC가 속도조절과 강하 비행인가를 혼합할 때, 그 사이에 Then을 넣어 지시사항의 순서를 표시

* 항공안전법에 설정된 것과 같이 1만 피트 이하에서 최대속도는 계속 적용, 의문사항이 있으면 ATC에 문의

바. 만일 ATC가 접근인가를 통보하기 전에 속도조절절차를 적용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하면 ATC는 조종사에게 정상속도로 환원하라 통보, 접근비행인가는 이전의 속도조절 지시사항을 폐기하며 조종사는 접근하는 데 필요한 자체속도조절을 할 필요가 있음. 그러나 계속적으로 입항하는 항공기 간의 분리를 위하여 접근인가를 통보한 후라도 ATC가 속도조절을 요구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음. 그러한 경우 지시한 속도를 유지해야 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속도조절 지시가 요구될 때, 이미 통보한 조절속도를 재언급하여야 한다. 접근비행인가를 통보한 후 ATC는 필히 속도조절에 대한 조종사의 동의를 얻어야함. 속도조절은 활주로에 가까운 상태 (FAF 이내)에 있는 최종접근선상이나 활주로로부터 5NM 점에 있는 항공기에 대하여 속도조절을 지정하지 않는다. 

사. 조종사는 최소안전속도가 특별한 운용을 위하여 조절속도보다 클 경우 ATC의 속도조절을 거부할 수 있다.

아.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에 명시된 최대 지시대기속도를 초과한다고 판단될 때 ATC에 의한 조절속도를 거부할 책임이 있음. 이러한 경우 ATC에 통보

 

 

 

3. 보다 많은 Air traffic 처리를 위해 서로 교차하는 2개의 활주로를 동시에 사용하는 절차로서 하나의 활주로에 착륙한 항공기에게 다른 활주로를 Cross하기 전에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절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A. PBN

B. LAHSO

C. RVSM

D. LDA PRM

 

답 : B

ref 1) ICM

Land and hold short operations

At controlled airports, LAHSO are sometimes used to allow air traffic controllers to make more efficient use of runways and taxiways during periods of heavy traffic

 

ref 2 ) Gleim ATP

6.7 Land and hold short operations(LAHSO)

1. LAHSO includes landing and holding short of an intersectiong runway, an intersecting taxiway, or some other designated point on a runway other than an intersecting runway or taxiway. 

2. A LAHSO clearance, once accepted, must be adhered to just as any other ATC clearance, unless an amended clearance is obtained or an emergency occurs.

3. In conducting LAHSO, you should have readily available the published available landing distance(ALD), landing performance of  the airplane, and slope of all LAHSO runway combinations at the destination airport. 

4. The airport markings, signage, and lighting associated with LAHSO consist of yellow hold - short markings, red and white signage, and, at some airports, in-pavement lighting. 

 

ref 3 ) AIM - 대강 번역함

4-3-11. Pilot responsibilities when conducting LAHSO

가. LAHSO는 교차활주로. 교차유도로 또는 그 외의 활주로상의 어떤 지정된 지점에서 착륙 후 잠깐 대기르 포함

나. 공항의 수용 능력과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종사의 참여가 요구됨.

다. ATC가 조종사에게 LAHSO 인가 가능, 기장은 항공기가 ALD 내에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을지 판단하여 인가를 받아들일지 결정, 학생조종사나 LAHSO에 익숙하지 않다면 참여하면 안된다. 

라. 조종사가 LAHSO 인가 거부가능.

마. LAHSO 교차점위치식별곤란, 바람조건, 항공기 상태등 LAHSO 거절등을 할 때는 인가 발령전에 ATC에 통보, 수정된 인가를 받거나 비상사항이 아니면 다른 ATC의 지시처럼 LAHSO 준수, LAHSO는 rejected landing을 포함함. 

 

 

 

4. Circling approach에 대한 언급 중 틀린 것은?

 

A. Circling approach는 계기접근을 실시한 활주로 외의 다른 활주로에 항공기가 착륙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접근절차이다. B. 조종사는 선행하는 항공기를 보면서 이 접근을 실시해야 한다.

C. Missed approach를 수행할 경우 조종사는 활주로 쪽으로 상승 선회를 실시한다.

D. 항공기가 정상적인 기동을 하면서 정상 강하율로 강하할 수 있는 위치에 오기 전까지 조종사는 Circling 고도를 유지해야한다.

 

답 : B

ref 1) ICM

CIRCILING APPROACHES

If the final approach course is not properly aligned, or if it is desirable to land on a different runway, a circling approach may be executed and circle to land minumums apply.

In addition, you must remain at or above the circling MDA unless the airplane is continuously in a position from which you can descend to a landing on the intended runway, using a normal rate of descent and normal maneuvering. 

 

ref 2) 조종사 표준교재 - 계기비행

2.6 실패 접근(Missed approach)

계기접근 후 착륙을 위한 선회 접근 중에 지상의 시각 참조물을 놓쳤을 경우에도 실패 접근을 실시해라. 초기 상승 선회는 착륙 활주로 방향으로 한 후 실패 접근 경로로 진입하여 비행해야 한다. 

 

 

 

5. Instrument approach segment 중 항공기 Configuration change를 위해 설정된 Segment는?

 

A. IAS

B. IS

C. FAS

D. MAS

 

답 : B

ref 1 ) ICAO doc-8168

Chapter 4. INTERMEDIATE APPROACH

4.1 purpose

This is the segment during which the aircraft speed and configuration should be adjusted to prepare the aircraft for final 
approach. For this reason, the designed descent gradient is kept as shallow as possible. To fly an efficient descent 
profile, the pilot may elect to configure the aircraft while in a continuous descent along this segment.

 

ref 2) 비행절차설계요령

제 4장 중간접근구간 

중간접근구간은 첫 접근 구간을 최종접근구간에 결합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최종접근구간으로 진입하기 위한 항공기 외장형태(configuration), 속도, 위치 등을 조정하는 부분이다.

 

 

 

6. ILS PRM approach를 수행하기 위한 공항 Requireme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모든 상황을 Monitor 할 수 있는 별도의 Final monitor controller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이 Final monitor controller frequency는 모든 다른 Tower frequency를 Override 할 수 있어야 한다.

B. 조종사는 Monitor frequency를 통해 ATC와 송수신을 할 수 있다.

C. 조종사는 ILS PRM approach를 수행하기 전 Ground & flight training을 받아야 한다.

D. 두 활주로의 Final approach course 사이에는 2,000ft 폭의 No transgression zone이 설정되어있다.

 

답 : B

ref ) AIM

5-4-15

A system equipped with final monitor controllers. Simultaneous parallel approaches require NTZ radar monitoring to sure separation between aircraft on the adjacent parallel approach course. Aircraft position is tracked by final monitor controllers who will issue instructions to aircraft observed deviating from the assigned final approach course.

2. The final monitor controller will have the capability of overriding the tower controller on the tower frequency

b. NTZ Radar Monitoring. This service is provided for each simultaneous approach to ensure aircraft do not deviate from the final approach course. Radar monitoring includes instructions if an aircraft nears or penetrates the prescribed NTZ (an area 2,000 feet wide located equidistant between final approach courses). This service will be provided as follows

b. Requirements. Besides system requirements as identified in sub−paragraph a, above, all pilots must have completed special training before accepting a clearance to conduct ILS PRM or LDA PRM Simultaneous Close Parallel Approaches

 

 

 

7. LDA PRM approach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평행한 두 활주로의 폭이 750ft ~ 3,000ft 미만의 경우에 실시한다.

B. LDA PRM approach 를 수행하는 항공기는 LDA MAP 도달 전에 ILS 항공기와 활주로를 In sight 하고 Tower 에 “ILS traffic in sight” 을 보고해야 한다.

C. LDA PRM approach 를 수행하는 도중 ILS 항공기를 In sight 하는 경우 LDA MAP 도달 전이라도 해당 활주로에 정대할 수 있다.

D. No transgression zone 은 LDA MAP 지점에서 Terminate 된다.

 

답 : C

ref ) 대한항공 FOM supplement

ILS PRM 및 LDA PRM approaches

o LDA PRM(SOIA : Simultaneous offset instrument approach) 

1개의 ILS와 1개의 glide slope정보가 제공되는 LDA로 이루어진다. ILS는 해당 활주로와 정대되어 있으나, LDA는 평행 항적으로부터 offset 되어있다. 이 offset은 750ft ~ 3000ft 미만의 분리된 평행 활주로에 동시 계기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이 offset으로 인한 절차는 SOIA로 불린다

o LDA approach

MAP까지 LDA course 유지

MAP에서 다음 조건을 충족할 경우 활주로 정대를 위한 maneuvering을 할 수 있다. 

- 평행활주로의 ILS 항적에 대해 육안 식별하고 ATC 통보완료.

- 활주로 주변시설 육안식별

 

 

 

8. Blast pad / Stopway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활주로 끝에 접해있으며 Chevrons으로 표시된 이 부분은 이착륙 용도로도 사용될 수 없으나 Taxi는 가능하다.

B. 항공기가 이륙을 위해 일반적으로 엔진을 최대 파워로 사용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엔진에서 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 후류로 부터 지상 장비, 지상 조업자, 타항공기 등을 보호하기 위해 Blast pad를 설정한다.

C. Stopway 는 반대 방향에서 이륙하던 비행기가 Reject takeoff를 하거나 또는 착륙하던 항공기가 활주로 내에서 정지하지 못한 경우 에 사용될 수 있다.

D. Blast pad / Stopway는 활주로나 Taxiway에 비해 강도가 낮기 때문에 예외적인 상황에 사용되는 것이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 은 아니다.

 

답 : A

ref ) ICM

Blast pad/stopway areas are marked by yellow chevrons and are not to be used for taxiing, takeoffs, or landings. 

 

 

 

9. 2-Bar VASI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Visual Approach Slope Indicator의 약자로, 시계 접근을 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활주로 좌측에 설치된다.

B. VASI의 경우 활주로 연장선 좌우 30도 폭, 활주로 끝에서 약 10NM까지 Obstruction clearance를 보장한다.

C. 2-Bar VASI의 경우 Above glidepath는 두 쌍의 흰색 라이트를, Below glidepath는 두 쌍의 빨간색 라이트를, On glidepath시에는 아래 위치한 한 쌍의 라이트는 흰색을, 위 한 쌍의 라이트는 빨간 색을 비추게 된다.

D. 주간에는 약 3~5NM까지 비춰지고, 야간에는 약 20NM 이상 비춰진다.

 

답 : B

ref ) ICM

VISUAL GLIDE SLOPE INDICATORS

The two-bar visual approach slope indicators(VASI) system provides on visual gilde path, normally set to 3 degree. Staying on the VASI glide path assures you of safe obstruction clearance within ±10º of the extended runway centerline and out to 4 NM from the threshold. When using a VASI, fly your approach so the far bars indicate red and the near bars show white. These are the proper light indications for maintaining the glide slope. VASI lights are visible from 3 to 5 miles during the day and up to 20 miles at night.

If the far bar is red and the near bar is white, you are on the glide path. the memory aid "red over white". = on glide path, If both light bars are white, you are too high. If you see red over red, you are below the glide path.

 

 

 

10. 조종사가 익숙하지 않은 공항에서 Taxi를 하던 도중 어떤 유도로로 Taxi 해야 할 지 혼동이 일어났다. 이때 조종사가 취해야 할 바람직한 행동이 아닌 것은?

 

A. 속도를 줄여 천천히 Taxi하면서 ATC의 도움을 받는다.

B. 더 이상 Taxi를 하지 않고 현 위치에서 멈춘 후 ATC에 Contac 하여 분명하게 현위치를 파악한 후 계속 Taxi한다.

C. 이 경우에도 유도로가 교차하는 곳이나 활주로와 같은 곳에서는 정지하지 않는다.

D. 조종사는 Step-by-step Taxi 지시를 제공받을 수 있는 Progress taxi instruction을 요청할 수 도 있다.

 

답 : A

ref ) ICM

While taxiing, know your precise location and concentrate on your primary responsibilities. Don't become absorbed in other tasks or conversation when the aircraft is moving.

If unsure of your position on the airport, stop and ask for assistance. At a controlled airport, you can request progressive taxi instructions.

 

 

 

 

11. 강하 고도를 포함한 강하 지시와 함께 “At pilot’s discretion” 이라는 지시를 함께 받았다. 이 “At pilot’s discretion”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조종사가 원하는 시점에 강하를 시작할 수 있다.

B. IFR 상황이므로 강하율은 500FPM 을 넘어야 한다.

C. 강하도중에 주어진 고도에 도달하기 전 잠시 동안 Level off 하는 것도 허용이 된다.

D. 강하도중 한 번 떠난 고도로 다시 돌아갈 수 없다.

 

: B

ref 1 ) 조종사 표준교재 (계기비행)

2.3.6 계획된 강하와 접근

ATC에서 고도 정보에 관한 인가로서 'at pilot's discre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면, 조종사는 원하는 강하율로 강하하여 원하는 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가한 것이다. 하지만 일단 떠난 고도로의 재진입은 불가능하다. 

 

ref 2) ICM

DESCENDING FROM THE ENROUTE SEGMENT

When ATC issues you a clearance at pilot's discretion, you may begin the descent whenever you choose. You also are authorized to level off, temporarily, at any intermediate altitude during the descent. However, once you leave an altitude, you may not return to it.

 

 

 

 

12. “Korean Air 123, Cross OSAN VOR at or above 9,000ft, descend and maintain 5,000 ft” 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 지시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A. 오산 VOR까지 Pilot discretion에 의해 강하한다.

B. 오산 VOR을 9,000ft 이상으로 통과한다.

C. 오산 VOR 통과 후 강하율은 조종사 임의로 정할 수 있다.

D. 오산 VOR 통과 후 5,000ft까지 강하 후 고도를 유지한다.

 

답 : C

ref ) ICM

DESCENDING FROM THE ENROUTE SEGMENT

A descent clearance also may include a segment where the descent is at your discretion, such as "... cross the X VOR at or above 12,000, decsend and maintain 5,000." This clearance authorises you to descend from the assigned altitude whenever you choose, so long as you cross the X VOR at ot above 12,000 ft MSL. After that, you should descend at a normal rate until you reach the assigned altitude of 5,000ft MSL. 

 

첨견) 문제 문맥상 풀어야함. Korean air 뒤에 생략된 부분이 존재. Cross란 지시 자체가 pilot discretion decsent를 포함하는건 아님. 

 

 

 

13. Instrument Departure Procedure (DP) or SID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DP는 공항에서부터 En-route까지 항공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절차이다.

B. DP의 주된 목적은 IMC 상황하에 있는 출발 항공기에게 충분한 Obstacle clearance를 제공함에 있다.

C. DP는 바쁜 공항에서 조종사와 ATC 간의 통신을 줄이고, 출발 지연을 줄임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항공기 출발을 가능하게 한다.

D. DP의 최소 Climb gradient 는 500ft/NM 이고, 더 큰 상승율을 요할 시에는 해당 DP 차트에 박스로 Ground speed 별 요구되는 상승율이 표시된다.

 

답 : D

ref 1 ) 조종사 표준교재 (계기비행)

2.2 출발절차

DP는 터미널 구역에서 적절한 항로 시설까지의 장애물 회피를 보장하고 조종사가 공항을 출발하여 항로 시절까지 안전하게 출항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사전 계획된 IFR 절차이다. 조종사들에게 DP를 이용할 수 있을 때 이에 따라 계획하고 비행할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DP에는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인쇄되는 장애물 절차와(ODP) 항상 그래픽으로 인쇄되는 표준 계기 출발(SID)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ref 2 ) ICM

DEPARTURE STANDARDS

IFR departur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riteria established in the TERPs. In part, TERPs sets standards for a specific clearance from obstacles at a given distance from the runway based on an aircraft climbing at least 200 ft per NM.

 

 

 

14. SID를 수행도중 ATC로부터 다음과 같은 지시를 받았다. “KE 001, Climb and maintain FL 150” 이 지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FAA 규정적용)

 

A. 고도 제한사항들은 모두 취소가 되나 규정상 ATC에 고도 제한 사항 취 소에 대한 승인을 얻어야 한다.

B. 조종사는 FL 150로 바로 상승한다.

C. FL 150까지 상승하는 도중에 있는 SID 고도 제한사항들을 모두 취소가 된다.

D. 고도 제한사항들은 취소 되었으나 속도 제한 사항들은 준수해야 한다.

 

답 : A

ref ) AIM

Departure procedure 4-3-14

7. If prior to or after takeoff an altitude restric-tion is issued by ATC, all previously issued “ATC”altitude restrictions are canceled including those pub-lished on a SID. Pilots must still comply with allspeed restrictions and lateral path requirements pub-lished on the SID unless canceled by ATC

 

 

 

15. Radar contact이 안 되는 상황하에서 조종사가 ATC에 보고해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

 

A. 모든 접근 시 IAF를 떠날 때

B. 비 정밀 접근 시는 FAF를 떠날 때

C. 정밀 접근시는 Outer marker inbound 할 때

D. ETA가 3 분을 초과할 때

 

답 : A

ref ) ICM

NONRADAR REPORTS

When you are not in radar contact, these reportys should be made without a specific request from ATC.

① Leaving FAF or OM inbound on final approach.

② Revised ETA of more than 3 mins.

③ Position reporting at compulsory reporting points.

 

 

 

16. COP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COPs는 Changeover points의 약자로, 두 개의 항법 시설이나 두 개의 Waypoints를 연결하는 항로상에 위치한 하나의 Point로, 이 지점에서 조종사는 Navigation 수신기 주파수를 앞에 위치한 지상 항행 시설의 주파수로 바꿔야 한다.

B. COPs는 항상 두 항행 시설의 중간지점에 위치한다.

C. COPs의 설정 목적은 조종사가 지상 항행 시설로부터 받는 항행 신호를 놓치지 않게 함에 있다.

D. COPs 설정의 다른 목적으로는 타 시설로부터의 간섭을 예방하고, 동일한 공역에 있는 항공기들이 서로 다른 지상 항행 시설을 이용 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답 : B

ref ) AIM

5-3-6. Changeover Points (COPs)

a. COPs are prescribed for Federal airways, jet routes, area navigation routes, or other direct routes for which an MEA is designated under 14 CFR Part 95. The COP is a point along the route or airway segment between two adjacent navigation facilities or waypoints where changeover in navigation guidance should occur. At this point, the pilot should change navigation receiver frequency from the station behind the aircraft to the station ahead.

b. The COP is normally located midway between the navigation facilities for straight route segments, or at the intersection of radials or courses forming a dogleg in the case of dogleg route segments. When the COP is NOT located at the midway point, aeronautical charts will depict the COP location and give the mileage to the radio aids.

c. COPs ar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loss of navigation guidance, to prevent frequency interference from other facilities, and to prevent use of different facilities by different aircraft in the same airspace. Pilots are urged to observe COPs to the fullest extent.

 

 

 

 

17. 항공기가 Arrival 도중 다음과 같은 “Descend via (STAR name)” 지시를 받았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FAA 규정)

 

A. “Descend via STAR name” 이란 지시는 Vertical 과 Lateral 모두 승인이난 지시이다.

B. 조종사는 차트에 나와있는 데로 STAR를 수행하면 된다.

C. 강하는 Pilot’s discretion으로 이루어진다.

D.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제한 고도와 속도는 취소된다.

 

답 : D

ref ) AIM

6-17-21

5. Instruct the pilot to “climb via” or “descend via.” A climb via or descend via clearance cancels any previously issued speed restrictions and, once established on the depicted departure or arrival, to climb or descend, and to meet all published or assigned altitude and/or speed restrictions.

 

 

 

 

18. Circling approach를 수행하는 도중에 조종사가 공항을 더 이상 확인할 수 없어 Missed approach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때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은?

 

A. 가장 먼저 조종사는 활주로 쪽으로 상승 선회를 시작한다.

B. 상승 선회는 타 항공기가 없는 어느 방향으로 시도해도 된다.

C. 선회는 Missed approach course에 Established 될 때까지 지속한다.

D. Course established 된 후 Missed approach 절차를 수행한다.

 

답 : B

ref 1) ICM

CIRCILING APPROACHES

If the final approach course is not properly aligned, or if it is desirable to land on a different runway, a circling approach may be executed and circle to land minumums apply.

In addition, you must remain at or above the circling MDA unless the airplane is continuously in a position from which you can descend to a landing on the intended runway, using a normal rate of descent and normal maneuvering. 

 

ref 2) 조종사 표준교재 - 계기비행

2.6 실패 접근(Missed approach)

계기접근 후 착륙을 위한 선회 접근 중에 지상의 시각 참조물을 놓쳤을 경우에도 실패 접근을 실시해라. 초기 상승 선회는 착륙 활주로 방향으로 한 후 실패 접근 경로로 진입하여 비행해야 한다. 

 

 

 

 

19. ATC로부터 (Side-step maneuver에 관련한) 다음과 같은 지시를 받았다. 조종사가 취해야 할 행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KE 001, cleared for ILS runway 7L approach, side-step to runway 7R.”

 

A. 조종사는 먼저 ILS runway 7L를 수행하다, FAF를 통과하면 바로 Runway 7R로 정대한다.

B. 조종사는 ILS runway 7L의 MAP까지 비행 후 Runway 7R에 정대 후 착륙한다.

C. 조종사는 Runway 7L의 VDP(Visual Descent Point)까지 비행 후 Runway 7R에 정대 한다.

D. 조종사는 먼저 ILS Runway 7L를 수행하다가 Runway 7R 또는 해당 활주로 시야 참조물이 보이면 가능한 한 빨리 side-step maneuver를 실시하여 Runway 7R에 정대 후 착륙한다.

 

답 : D

ref ) 조종사 표준교재(계기비행)

2.5.11.6 사이드 스텝 조작(Side-Step Maneuver)

활주로의 간격이 1,200피트 이하인 2개의 평행 활주로 중 하나에 ‘Straight-in’ 접근을 한 다음, 인접 활주로에 ‘Straight-in’ 착륙을 하는 비정밀 접근 절차를 ATC는 허가할 수도 있다.

IFR 비행조작을 할 조종사는 설정된 계기접근을 하고 난 다음, 인접 평행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한 인가를 받게 된다. 인가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CLEAREDFOR ILS RUNWAY 7 LEFT APPROACH,SIDE-STEP TO RUNWAY 7 RIGHT.”(좌측 활주로 7ILS 접근을 허가하며, 우측 활주로 7에 착륙을 허가한다.) 종사는 활주로 또는 활주로의 주변 시설을 발견한 후, 가능한 한 빨리 ‘사이드 스텝’ 조작을 실시하여야 한다. 인접 활주로의 착륙 최저치는 주 활주로의 최저치보다 높다. 그러나 설정된 선회 접근 최저치(Circling Minimums)보다는 보통 낮다.

 

 

 

20. 한국의 Class D 공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Class D 공역 높이는 지표면에서 최대 5000’ 이며 공항마다 upper limit 은 상이하다.

B. Class D 공역은 공항주변과 항로상에 설정이 되어있다.

C. 조종사는 Class D 공역에 진입 하기 전 관제탑과 쌍방향 무선 통신 (Two way radio communication) 을 확립해야 한다. D. 해당 공항에 관제탑과 접근관제시설이 있어도 D공역으로 지정된 공항이 있다.

 

답 : D

ref ) AIP

2.4 D 등급 관제공역

가. 정의 : 인천비행정보구역 중 다음과 같이 국토교통부장관이 공고한 공역이다. 

⑴ 청주공항을 제외한 공항의 공역 크기는 관제탑이 운영되는 공항반경 5NM이내, 지표면으로부터 공항표고 5,000피트 이하의 각 공항별로 설정된 관재권 상한고도까지의 공역으로 설정된 공항.

⑵ 최저항공로고도(MEA) 이상 평균해면 20000피트 이하의 모든 항공로

⑶ 서울접근관제구역 중 B 등급 이외의 관제공역으로서 평균해면 10000피트 초과, 평균해면 18500피트 이하의 공역

 

바. 비행절차

D등급 공역 내로 들어가는 모든 항공기는 진입전에 관할 ATC 기관과 무선교신이 이루어져야하고 항공기 위치, 고도, 레이다비컨코드, 목적지를 알리고 D등급 업무를 요청하여 허가를 받아야하며 D등급 공역 내에서 비행하는 동안에는 계속 무선교신을 유지하여야 한다. 

 

 

 

 

21. GPS Augmentation 시스템 중 가장 정밀한 시스템은 무엇인가?

 

A. ABAS

B. GBAS

C. SBAS

D. WAAS

 

답 : B

ref ) ICM

GROUND-BASED AUGMENTATION SYSTEM

The FAA is working with industry and other service providers to develop the ground-based augmentation system(GBAS-LAAS), which provides a GPS position correction even more precise than WAAS. 

 

 

 

 

22. SID를 수행도중 ATC로부터 다음과 같은 지시를 받았다. ICAO 절차를 근거로 답하시오.

 

“KE 001, Climb to FL 150” 이 지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A. FL 150 까지 상승하되 중간의 고도 제한 사항은 취소된다.

B. FL 150 까지 상승하되 중간의 고도 제한 사항을 준수한다.

C. FL 150 까지 상승하되 속도 제한 사항은 취소된다.

D. FL 150 까지 상승하며 SID 가 취소된다.

 

 

답 : A

ref ) ICAO Doc 4444

6.3.2.4 Clearances on a SID

Clearance to aircraft on a SID with remainging published level and/or speed restrictions shall indicate if such restrictions are to be followed or  are cancelled. The following phraseologies shall be used with the following meanings.

f) CLIMB UNRESTRICTED TO (level) or CLIMB TO (level) or CANCEL LEVEL AND SPEED RESTRICTIONS

ⅰ) climb to the cleared level; published level restrictions are cancelled;

ⅱ) follow the lateral profile of the SID; and

ⅱ) published speed restrictions are cancelled at the specified point(s).

 

 

 

23. 항공기가 Arrival 도중 다음과 같은 “Descend via STAR name” 지시 를 받았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Descend via STAR name” 이란 지시는 Vertical 과 Lateral 모두 승인이 난 지시이다.

B. 조종사는 차트에 나와있는 데로 STAR를 수행하면 된다.

C. 강하는 Pilot’s discretion으로 이루어진다.

D.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고도 제한 사항들은 취소된다.

 

답 : D

ref ) AIM

5-4-1. Standard terminal arrival(STAR) Procedures

2. Pilots navigating on, or navigating a published route inbound to, a STAR procedure must maintain last assigned altitude until receiving authorization to descend so as to comply with all published/issued restrictions. This authorization will contain the phraseology "DESCEND VIA".

(a) Clearance to "descend via" authorizes pilots to :

     (1) Descend at pilot's descretion to meet published restrictions and laterally navigate on a STAR

     (2) When cleared to a waypoint depicted on a STAR, to descend from a previously assigned altitude at pilot's                           discretion to the altitude depicted at that waypoint.

     (3) Once established on the depicted arrival, to descend and to meet all published or assigned altitude and/or            speed restrictions.

 

 

 

24. GPS RAIM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RAIM은 GPS 항법 신호를 Monitor한다.

B. RAIM은 최소 5개의 위성을 필요로 한다.

C. GPS는 RAIM이 정상 작동되고 Warning이 없을 시만 사용 가능하다.

D. 일부 RAIM은 왜곡된 위성 신호를 탐지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답 : D

ref ) 조종사 표준교재 계기비행

2.10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RAIM은 주어진 비행 단계의 무결성 요구 사항을 충족하느 가용한 위성 신로를 보장함으로써, 자체의 무결성 Monitoring을 수행하는 GPS의 보유 능력이다. RAIM없이, 조종사는 GPS 위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없다. RAIM은 조종사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잘못된 위성 송신이 탐지되고 위성 통제 Segment에 의해 수정될 떄까지 2시간 까지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RAIM은 PBN에 매우 중요하다. Navigation 성능 요구 기준치에 합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적어도 1개의 위성이 RAIM기능을 수행하는 수신기의 시계 내에 있어야 한다. 

RAIM은 무결성 이상을 탐지하는 데 최소 5개의 위성, 또는 4개의 위성 및 Baro-aiding을 요구한다. 일부 GPS에는 Fault detection and exclusion(FDE)라는 RAIM 기능이 있는데, 이는 위치 해결에서 실패한 위성을 배제시킨다. FDE를 가진 GPS 수신기는 6개의 위성, 혹은 5개 위성 및 baro-aiding을 요구한다. 

 

첨견 ) 약간 억까스러운 문제, (D) 주어를 어디다가 두느냐. 사실 RAIM은 기능이니까, GPS receiver가 맞는 표현임. AIM 또한 receiver라고 명시되어 있음. 혹은 '왜곡된' 이란 표현. 사실 상 FDE가 일정 수준의 signal range 밖의 신호를 오류라고 판단하고 무결성을 보장하는 거니까... 그래도 A, B, C 다 맞는 말임

 

 

 

25. What is an incorrect statement about the picture? (The light color is red)

A. It is Stop Bar Light.

B. Aircraft shall stop when the light is on.

C. If an ATC clearance has been given to proceed onto or cross the runway, aircraft can proceed beyond the red-illuminated stop bar.

D. A controlled stop bar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taxiway centerline lead‐on lights.

 

답 : C

ref ) AIM

2-1-11. Taxiway lights

e. Stop Bar Lights

Stop bar lights, when installed, are used to confirm the ATC clearance to enter or cross the active runway in low visibility conditions( below 1,200 ft RVR). A stop bar consists of a row of red, unidirectional, steady-burning in pavement lights installed across the entire taxiway at the renway holding position, and elevated steady-bruning red lights on each side. A controlled stop bar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taxiway centerline lead-on lights which extend from the stop bar toward the runway, Following the ATC clearance to proceed, the stop bar is turned off and the lead-on lights are turned on. The stop bad and lead-on lights are automatically reset by a sensor or backup timer.

 

 

 

26. Which of the following is a correct statement about the conditional clearance?

 

A. Identification, the condition should be issued.

B. The clearance and brief reiteration of the condition should be issued.

C. ICAO only uses the conditional clearance.

D. Above all.

 

 

답 : D

ref ) ICAO Doc 4444

12.2.7 Conditional phrases, such as "behind landing aircraft" or " after departing aircraft", shall not be used for movements affecting the active RWY, except when the aircraft or vehicles concerned are seen by the appropriate controller and pilot. The aircraft or vehicle causing the condition in the clearance issued  shall be the first aircraft/vehicle to pass in front of the other aircraft concerned. In all cases a conditional clearance shall be given in the following order and consist of

a) identification ;

b) the condition;

c) the clearance and

d) brief reiteration of the condition.

 

첨견 ) A, B 가 둘 다 옳은 말, FAA에서는 conditional clearance란 말 자체가 언급안됨(AIM).

728x90
반응형

'문제해설 > 대한항공 계기 A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대한항공 ATC / 계기비행 -2  (0) 2023.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