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Knowledge 21

0.3 하늘의 자유 / ICAO / IATA 간단 요약

0.3. 하늘의 자유[가~끔 나오니 외울 것] 제1의 자유 : 무착륙 영공통과의 자유, Fly across its territory without landing 제2의 자유 : 운송 목적 외의 기술적 착륙에 대한 자유 제3의 자유 : 상대국으로 수송할 수 있는 자유 제4의 자유 : 상대국에서 자국으로 수송하는 자유 제5의 자유 : 상대국과 제3국간 승객/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자유 제6의 자유 : 상대국과 제3국간 승객/화물을 자국을 경유하여 수송하는 자유 제7의 자유 : 상대국과 제3국간만 왕래하면서 승객과 화물을 수송하는 자유 제8의 자유 : 자국에서 출발하여 상대국의 국내 지점간 승객과 화물 수송하는 자유 제9의 자유 : 상대국 내에서만 운항하며, 상대국 국내 지점간 승객과 화물을 수송하는 자유 1..

0.2 항공관련 협약 요약

0.2. 항공안전 관련 협약들 다른건 몰겠고 파리, 시카고, 동경, 헤이그, 몬트리올은 필수 0.2.1. 안전법의 기초 ① 파리협약(1919) International Convention Relating to the Regulation of Aerial Navigation 항행의 규율에 관한 국제협약 자국 영공에 대한 완전하고 배타적인 주권을 인정, 영공 주권의 원칙을 정착 ② 시카고협약(1944) -> 제 1, 2의 자유 보장(부정기), 에어 카보타지 금지의 원칙!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국제민간항공협약, ICAO 설립에 대한 규정, 조직 및 임무에 관한 규정 에어 카보타지 금지 : 유상 또는 전세로 자국 영역 내 있는 지점간 여객, 화물, 우편물 ..

0. 항공안전법의 목적, ICAO 부속서

0. 목적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자 및 항공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0.1 ICAO ANNEX-협약의 부속서님들[필수암기] Annex 1 : 항공종사자 자격증명(Personnel Licensing) - 조종사의 자격증명 및 한정, 신체 및 정신적 요건 - 항공사, 항공기관사, 항공통신사, 정비사, 교통관제사 등의 자격증명 Annex 2 : 항공규칙(Rules of the Air) - 항공 규칙의 적용 범위, 충돌의 회피, 비행정보, 불법방해행위 - 신호, 등화, 순항고도, 요격, VFR/IFR Annex 3 : 국제항공항행 ..

2. 교체비행장 선정기준 (Selection criteria)

2. 교체비행장 선정 기준(Selection Criteria) 가) 이륙교체비행장 1) 거리조건 2개의 발동기 : OEI로 무풍, ISA, 실제이륙중량을 고려하여 순항속도로 출발비행장으로부터 1시간 이내 3개 이상 발동기 : All ENG op로 무풍, ISA, 실제이륙중량을 고려하여 순항속도로 출발비행장으로부터 2시간 이내 EDTO 승인 : 실제이륙중량을 감안, 인가받은 최대회항시간 이내 2) 기상조건 사용예정시간 동안 기상조건이 비행장 운영 최저치 이상일 것. 사용예정시간이란 일반적으로 ETA 전후 1시간을 뜻함.(doc 9976, 기술기준) 나) 항공로교체비행장 1) 거리조건 EDTO 승인을 받은 경우, 그 거리를 반원으로 하여 인가받은 거리 내에 위치할 것. EDTO 승인을 안받은 경우, 2 EN..

3. 비행시작 금지 의무 / 교체공항 선정이 불가능한 경우

3. 비행시작 금지 의무 / 교체공항 선정이 불가능한 경우 가) 목적지 교체비행장의 지정이 요구되는 경우 1) 항공운송사업/국외비행을 하는 항공기(IFR) = 최초착륙예정비행장의 기상정보 이용 가능 최소 1개의 목적지 교체비행장의 기상상태가 ETA에 해당 비행장 운영 최저치 이상일 경우 비행가능 2) 항공운송사업 외 (IFR) 최소 1개의 목적지 교체비행장의 기상상태가 ETA에 해당 비행장 운영 최저치 이상일 경우 비행가능 나) 목적지 교체비행장의 지정이 예외되는 경우 1) 최초 착륙예정공항이 고립공항인 경우 고립공항(FOM) : 목적공항 DA/MDA에서 복행 후 가장 근접한 적합 교체공항으로 회항하는데 요구되는 연료가 목적공항 상공에서 90분 동안 체공하는 연료를 초과하는 경우. 착륙하려는 공항에 표준..

0. Alternate airport / 1. 교체비행장 지정 요건(Requirement)

0. Alternate Airport란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183조에 따라 비행계획서에는 VFR 또는 VMC 상황에서 안전하게 착륙하는 경유가 아니라면 반드시 교체비행장을 포함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동 시행규칙 186조에 따르면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거나 항공운송사업을 제외한 국외비행을 하는 비행기는 반드시 교체비행장을 지정해야 비행이 가능하다. 즉, 항공운송사업 혹은 그 외 목적의 국외비행하는 항공기는 시계비행 혹은 VMC가 확실히 되지 않는 시점이라면 반드시 교체비행장을 선정해야 비행이 가능하다. 각 비행단계에 따라, 혹은 그 비행방식에 따라 필요한 교체비행장은 다를 수 있고, 그 종류는 이륙교체비행장, 항공로 교체비행장, 목적지 교체비행장이있다. 1. 교체비행장 지정 요건(Requirement..

2. 항공안전법이 말하는 EDTO

2. 항공안전법 EDTO 항공안전법 74조 회항시간 연장운항의 승인 (요약) 항공 운송사업자가 2개 이상의 발동기를 가진 비행기(시규 215 참고, 터빈, 단 화물만 운송하는 3개 이상 터빈발동기는 제외한다.)를 다음의 순항속도로 가장 가까운 공항까지 비행하여 착륙할 수 있는 시간이 시규 215조시간을 초과하는 지점이 있는 노선을 운항하려면 국토부 장관의 승인이 필요함. 2개의 발동기 -> 1개의 발동기가 작동하지 아니 할 때의 순항속도 3개 이상의 발동기 -> All operation 기준의 순항속도 (FAA는 여전히 one) (더 자세한 기준은 운항기술 기준을 참고하랍디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215조 회항시간 연장운항의 승인 (요약) 위 언급한 시간은 2개의 발동기 : 1시간, 단 최대인가 승객수..

1. EDTO란? (배경지식)

EDTO란 기존에 존재하던 60분 rule( 2 ENG 경우, 1 ENG fail 시 항로상 Alternate가 특정조건(무풍, ISA, 1개 ENG 순항속도) 으로 60분이내 거리에 있어야 했던 것을, 안정성이 검증됨에 따라 운항의 효율을 높이고자 특정 허가를 받은 항공기에 한하여 60분 이내의 거리를 늘릴 수 있는 규정. ETOPS가 적용됨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은 항로가 그려짐. -> Extended-range Twin-engine Operation Performance Standard 규정(ETOPS) 사실상 항공기의 회항은 ENG의 개수 문제보다는 갑작스러운 환자나 기상, 화재 등 다른 요인의 영향이 더 커서 ETOPS의 규정을 확대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180분, 300분까지도 허용, 지역..

0. Definition (EDTO)

0. Definition EDTO(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 회항시간 연장운항) 쌍발 이상의 터빈엔진 비행기를 운항 시, 항로상 교체공항까지의 회항시간이 운영국가가 수립한 기준시간(Threshold Time)보다 긴 경우에 적용하는 비행기 운항, 승인을 받아야 함. More than Two이지만, FAA는 여전히 ETOPS를 사용 EDTO Critical Fuel(회항시간 연장운항 임계연료) 항로상 가장 먼 임계지점(The most critical point)에서 운항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고장 시 항로상 교체공항까지 비행하기 위한 연료량 Additional Fuel에 포함됨. EDTO – Significant system(회항시간연장운항 – 중요시스템) EDT..

음속을 뜯어보자-5.(임계마하수, 충격실속, 조파항력)

10. 임계마하수(Critical Mach Number) - 날개 윗면의 가장 빠른 마하수가 1이 될 때의 날개 앞면의 공기 속도. 11. 충격실속(Shock stall)과 조파항력(Wave Drag) 충격실속 : 충격파가 발생하면 흐름의 속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아음속으로 바뀌고, 밀도와 압력이 급증하며 박리가 발생함. -> 양력 감소, 항력 증가, 실속과 현상이 비슷하여 충격실속이라고 함 충격실속이 발생하면 속도를 줄여 이를 벗어날 수 있다.(충격파 발생 자체를 막는 개념) 조파항력 : 초음속 흐름에서 충격파로 인하여 발생하는 항력 -> 초음속 흐름에서 날개의 전체항력은 공기 점성의 마찰항력, 흐름의 박리로 인한 압력항력, 조파항력을 추가 -> 앞전 뾰족, 두께는 얇은게 좋음

728x90
반응형